건강정보

섬유근통 증후군(이하 섬유근통)이란 전신적인 통증과 특정 부위의 압통점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들이 특정한 환경이나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발병하며, 중추 신경계 및 말초 신경계가 통증을 조절하는데 문제가 생기면서 섬유근육통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가장 주요한 증상은 통증이다. 인체의 한 부위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전신으로 퍼지는 경우가 있다. 주로 하부요통이나 목, 어깨의 통증을 호소한다. 또 다른 주용 증상으로는 피로감이다. 자주 피로를 느끼고 자고 일어나도 계속 피곤함을 호소하며 수면 중 자주 깬다. 섬유 근육통 환자들은 만성 근골격계 통증 및 불편감 외에도 수면 장애, 우울감, 불안감, 조조 강직, 두통, 과민성 대장 증후군, 턱관절 통증 비심장성 흉통 등을 호소하게 되며 약 30%의 환자에서 정신과적 증상이 동반 되어 있다.

진단
여러가지 진단 기준이 있으나 특정 압통점을 가지고 진단을 내리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3개월 이상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고, 진찰 시 18개의 특정한 신체 부위 중에 11군데 이상에서 유의한 압통을 호소할 경우에 진단을 내린다.

증상
가장 주요한 증상은 통증이다. 인체의 한 부위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전신으로 퍼지는 경우가 있다. 주로 하부요통이나 목, 어깨의 통증을 호소한다. 또 다른 주용 증상으로는 피로감이다. 자주 피로를 느끼고 자고 일어나도 계속 피곤함을 호소하며 수면 중 자주 깬다. 섬유 근육통 환자들은 만성 근골격계 통증 및 불편감 외에도 수면 장애, 우울감, 불안감, 조조 강직, 두통, 과민성 대장 증후군, 턱관절 통증 비심장성 흉통 등을 호소하게 되며 약 30%의 환자에서 정신과적 증상이 동반 되어 있다.
이미지

그러나 모든 환자가 이 기준에 부합되는 것은 아니며 압통 부위의 숫자는 적지만 통증의 강도는 더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통증 부위 및 통증 정도의 scoring을 통해서 진단을 내리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미국 류마티스 학회의 진단 기준이 대표적이다. 전신 통증 지수(widespread pain index, WPI)와 증상 중증도 척도(symptom severity scale)를 진단 기준으로 사용하며 아래의 경우 진단을 할 수 있다.
1. WPI 가 7점 이상 증상 중증도 척도가 5점 이상
2. WPI 가 3-6점 사이인 경우 증상 중등도 척도가 9점 이상
이러한 기준은 압통점 검사를 할 필요 없이 설문만으로 진단이 가능하게 하였다. 다양한 임상 증상들을 진단 기준에 포함 시켰기 때문에 진단이 애매했던 환자들을 섬유근육통으로 진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섬유근육통의 진단 기준(미국 류마티스 학회, 2010)>
이미지


치료
섬유근통 증후군이라는 질환 자체가 만성적인 질병이라는 점과 만성적인 염증의 증가 이외에 명확하게 밝혀진 병태 생리가 없다는 점으로 인해 치료에는 교육 및 운동, 수면 및 통증 등에 대한 약물 치료 등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물 치료로는 저용량의 naltrexone을 사용하는데 이는 염증의 cascade 를 차단함으로써 병의 병태 생리 및 증상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치료는 통증의 감수성은 낮추고 이질통과 통각 과민에 효과가 있다. 또한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가 사용되는데, 이 또한 염증의 cascade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저칼로리 식이조절이나 metformin은 미토콘드리아의 산소 요구량을 낮춤으로써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를 줄일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이 두통과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항우울제로 개발된 약제들을 자기 1~2시간 전에 복용해 볼 수 있는데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증량하면서, 변비나 입마름, 체중 증가, 졸림 등의 약물 부작용이 있는지 살피면서 증량한다. 스테로이드나 마약성 진통제는 거의 효과가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트라마돌(tramadol)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임상 시험에서 입증되었다.

아직은 병의 명확한 병태 생리 및 이를 표적으로 하는 monoclonal antibody 나 다른 biologic drug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더 많은 연구가 더 진행 되야 하는 상황이다.
섬유 근육통 환자들의 경우 약 9~44% 정도가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한 증상을 보이는데, 이는 통증 정도, 기분, 우울증, 직업 상태 등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