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1980년대 초에 Dr. Parviz Kambin에 의해서 소개된 시술법이다. 상기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판 제거술은 환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서 내시경을 병변이 있는 추간판에 삽입하여 탈출된 추간판을 제거하는 시술법이다. 상기 시술법은 부분 마취나 정맥 마취하여서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외에 입원기간이 짧고, 고식적인 추간판 제거술에 비해 비침습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판 제거술의 합병증으로는 추간판 탈출의 재발, 신경 손상, 경막외 혈종 등이 있다.

수술 후에는 코르셋을 입는 것이 안정성을 주고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2주가 지난 다음부터는 재활 운동 치료를 시작한다. 사무일이나 가벼운 신체 활동은 수술 후 1-2주가 경과하면 시작할 수 있으나, 중한 노동은 수술 후 4주간은 금해야 하며 그 후부터는 서서히 시작할 수 있다. 수영이나 구부리지 않은 자세에서 자전거 타기와 같은 운동은 수술 후 3주부터 시작할 수 있다. 가벼운 달리기는 약4주 후부터 시작할 수 있다. 그 외의 운동들은 강도에 따라 5-6주 후부터 시작할 수 있다.

증상이 원인인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나 정도에 따라 접근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후외측 도달방법(Posteriolateral)과 추궁판간 도달방법(interlaminar), 그리고 극도의 외측에서의 도달방법(far lateral or extreme lateral)으로 나눌 수 있다.
 
가) 후외측 도달 방법(Posteriolateral approach)
 
 
 
나) 추궁판간 도달 방법(Interlaminar approach)
 
 
 
 
다) 극외측 도달 방법 (far lateral or extreme lateral approach)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