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공간
건강정보
쇄골 골절
1. 분류
골절의 위치에 따라 내측, 중간, 외측 1/3로 나누며 중간부위 골절이 가장 흔합니다.2. 진단
엑스레이 사진으로 쉽게 진단이 되며 피부 밑에서 만져 지는 뼈로 골절이 어긋나면 외관상으로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3. 치료
대부분 유합이 잘 되고 기능상 문제없이 잘 낫습니다. 비수술적 방법으로 8자형 붕대를 4~6주간 유지하는 정도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수술이 필요한 골절로는 뼈가 붙지 않아 통증이 지속되는 불유합, 어긋한 골절편이 피부를 뚫을 것 같은 정도로 튀어나오는 경우, 신경 혈관이 같이 다치는 경우 등입니다. 골절의 어긋남이 심하여 불유합이 예상되거나 쇄골의 원위부 골절이 어긋난 경우 또는 조기에 팔을 사용해야하는 운동 선수들에게도 수술 치료가 적응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은 골절부위를 노출시켜 어긋난 뼈를 맞추고 금속판이나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골수강내핀고정법이 이용되기도 합니다.
4. 합병증
혈관 및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정 유합,불유합 혹은 수술부위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유합이 발생되면 급성 골절에 비해 골절부에 결손이 있을 수 있고 골질이 나빠 뼈이식술을 동시에 시행하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