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팔꿈치 관절 불안정성

  • 팔꿈치 관절은 3개의 뼈와 인대들로 그 안정성이 유지되는 관절입니다. 외상으로 관절면이 골절되거나 인대가 파열이 되면 관절이 불안정하게 됩니다. 상완골에 비해 척골이나 요골이 옆쪽 또는 뒤쪽으로 벌어지거나 빠지는 경우(탈구)가 생기는데 한번의 외상으로도 생길 수 있지만 운동선수처럼 반복된 동작으로 서서히 생길 수도 있습니다. 불안정성의 방향에 따라 내측 불안정성과 후외측 불안정성이 가장 흔합니다.

  • 1. 발생 부위와 원인
    내측 불안정성은 팔꿈치 관절의 내측에 붙어 있는 측부 인대의 파열이 주원인이며 야구의 투수와 같은 던지는 운동 선수들에게 흔히 발생됩니다. 내측 팔꿈치에 반복된 힘이 인대를 늘어나게 하거나 끊어지게 합니다. 반면 후외측 불안정성은 외측 측부인대의 기능 저하로 나타나면 한번의 외상으로도 외측 측부인대 파열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림1. 정상 상태의 측부인대(좌)와 파열된 측부인대(우). 내측 측부인대 파열로 관절이 벌어지게 됩니다.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2. 증상
    내측 불안정성은 공을 던지는 동작에서와 같이 팔꿈치에 내반력이 작용할 때 통증이 나타나고 운동 선수일 경우 강한 투구를 못하는 증상을 호소합니다. 일반인들에게는 경우에 따라 불편감이 많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후외측 불안정성의 증상은 일생생활에서도 느낄 수 있는데 의자나 바닥에서 팔을 짚을 때 관절이 빠지는 느낌을 느끼거나 아픔을 호소합니다. 팔굽혀 펴기 할 때도 비슷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그림2. 팔굽혀 펴기를 할 때 팔이 빠지는 증상을 느낍니다.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3. 진단
    관절이 빠지는 동작이나 힘을 주어 검사자가 불안정성을 유발하거나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방법이 간편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MRI를 찍어보면 파열된 인대 등을 진단 할 수 있습니다.

    그림3. MRI사진에서 우측 측부 인대가 파열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4. 치료
    급성 외상으로 인대 파열이 심하여 관절이 빠지는 증상이 현저하면 조기에 인대를 봉합하는 방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만성파열은 새로운 인대를 만드는 재건술을 시행하는데 같은 팔의 힘줄을 사용하여 측부인대를 만들어 기능을 복원시키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과거 미국 프로야구 투수 토미 존이라는 투수가 수술을 시행 받고 좋은 결과를 보여서 흔히 내측 측부인대재건술을 "토미 존 서저리"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