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 원인
  • 고관절 골절은 대부분 넘어지면서 고관절부의 외측을 직접 부딪히면서 발생합니다. 젊은 연령에서는 추락이나 교통사고 같은 고에너지 외상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고, 고령의 환자에서는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질이 약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단순 낙상같은 저에너지 손상에 의해 90%가 발생합니다.

  • 증상
  • 고관절 골절이 있는 환자는 골절 후 즉시 외측 대퇴부와 서혜부에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대퇴부를 구부리거나 회전하려고 하면 더욱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골절 후 환측 다리가 반대쪽에 비해 짧아지며, 발과 무릎은 외회전 된 자세를 보이게 됩니다.

  • 진단
  • 대부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전후면, 측면 및 축면 상을 필히 확인하여야 하며, 전후면은 골절의 경사도, 측면은 골절선의 방향, 축면은 후방 분쇄골절의 유무를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이외에도 삼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이 골절 형태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불완전 골절일 경우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전신 골주사 검사로 골절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골절 형태와 위치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아, 중년, 노년에 따라서 정복과 고정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으며, 소아의 경우는 골절 유합이 불량할 경우 평생 추시 및 치료를 요하며, 중년에서는 가능한 한 골절부 정복과 견고한 고정으로 자기 골두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노인인 경우 골유합술도 가능하지만 최근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더욱 추천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대퇴 경부 골절의 경우 관절낭 내에 쌓여 있고 외막 골유합에 필요한 형성층(cambium layer)이 없기 때문에 골유합시 전적으로 내막 골유합에만 의존해야 하므로 강한 밀착이 없을 경우 관절 혈액의 혈액 응고 용해 기전으로 인하여 골 유합이 저해됩니다.

    내고정술을 하는 경우 대퇴경부의 혈관에 손상을 적게 주면서 골절로 발생한 혈행 장애를 재생시켜 골절 유합이 될 때까지 금속물이 지지해주는 것이고, 더불어 후방 분쇄시의 회전방지 역할 및 내전 및 각 변형을 막아주고 축상 회전을 막아주는 역할까지를 해주면 가장 이상적인 고정이 될 것입니다. 경부 골절에서는 골유합이 어렵기 때문에 노인에서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많이 시행되는데, 인공 관절 치환술의 장점은 수술후 조기에 운동 및 체중 부하를 할 수 있고, 내고정술 후 발생 할 수 있는 불유합이나 재수술 또는 무혈성 괴사 등을 방지 할 수 있으나, 출혈, 혈전색전증, 감염 등의 위험성이 내고정술보다 높아 신중한 선택이 요구됩니다.

    <다발성 핀 고정술>
    다발성 핀 고정술 다발성 핀 고정술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인공 관절 반치환술>
    인공 관절 반치환술 인공 관절 반치환술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인공 관절 반치환술>
    인공 관절 반치환술 인공 관절 반치환술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대퇴 전자부 골절은 전자부가 혈행이 풍부하여 불유합은 많지 않아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여도 유합은 되나, 대퇴 골두의 외반 변형과 하지의 외회전 변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장기간의 침상 안정으로 인하여 욕창, 심폐기능 부전, 정맥 혈전증 그리고 전신 건강 상태 악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가능한 빨리 활동을 시키는 것이 장점이 많습니다.

    수술적 치료의 목표는 골절의 정복 및 안정화를 이루어 환자가 조기 보행이 가능하게 하고 긴 침상기간으로 생기는 합병증을 줄이는 데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결과의 중요한 변수로는 환자의 골질, 골편의 모양에 있으며, 수술자가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는 정복 정도, 고정물의 디자인, 금속 내고정물의 고정 위치 등이 관여합니다.

    수술적 방법은 내고정술이 대원칙으로 되어 있으며, 수술적 내고정술에는 골절부위의 압박력을 얻어 골절부위의 골유합을 촉진할 수 있도록 고안된 활강 압박 고나사 고정술과 조기 체중부하가 가능한 골수강내 금속 고정술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인공 관절 치환술도 효과적인 치료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압박 고나사 고정술>
    압박 고나사 고정술 압박 고나사 고정술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골수강내 고정술>
    골수강내 고정술 골수강내 고정술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인공관절 반치환술>
    인공관절 반치환술 인공관절 반치환술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큰 이미지가 보여 집니다.)

  • 예후
  • 고령과 혼자 생활하는 경우 및 한가지 이상의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에 술 후 예후가 불량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수술 후 1년 이내의 사망률은 10~30% 정도이며, 술 후 수상 전 보행상태로의 회복은 50%~70% 정도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골유합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불유합, 무혈성 괴사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로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에는 감염, 출혈에 의한 합병증 발생률이 내고정술에 비해 크다고 보고되며,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반치환술의 경우 술 후 10년 이후에는 비구부 미란(erosion)이 발생하여 전치환술로 재수술을 고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OP